2편에서 미분양물량에 대해 알아봤는데 내 기준에선 미분양물량이 2번째로 중요해서 2편에 넣은건 아니다.
오히려 입주물량만큼이나 중요하게 여기는게 이번 매/전 그래프이다.
그 이유에 대해선 맨 밑에 적어놨다.
일단 이번편에도 주제에 부합하면 +1점을 추가하는 식이다.
충청도 - 충주
강원도 - 강릉
전라도 - 전주(덕진구), 익산, 군산, 목포
경상도 - 구미, 경주, 거제, 진주, 창원(마산, 의창구, 성산구, 진해구)
위 지역들로 본론 데이터를 보면
지역별로 시장강도의 그래프를 봐보면 대체적으로 매매(시장강도)가 상승추세로 시장강도 100에 가까워지면서 가격이 오르기 시작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매매(시장강도)가 상승추세로 시장강도 100에 가까워지는 시점과 옆에 매매/전세 가격변동 그래프에서 비슷한 시점을 찾아서 보면 가격이 상승하는 흐름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점수는 매매/전세 가격변동에서 현재가 최고점이거나 최고점에 준하는 그래프
(*예외경우 - 현재가 최고점에 준하나 매매와 전세가 벌어지지 않고 거의 붙어있는 경우 시장강도도 무시함),
매매(시장강도)가 200이상인 경우 점수를 부여하지 않았다.
저평가지역찾기 | 미분양 | 매/전 가격 비교 | | | 총점 |
충주 | 1 | 1 | | | |
강릉 | 1 | | | | |
전주 덕진구 | 1 | | | | |
익산 | 1 | 1 | | | |
군산 | 1 | | | | |
목포 | 1 | 1 | | | |
구미 | 1 | | | | |
경주 | 1 | | | | |
거제 | | 1 | | | |
진주 | 1 | 1 | | | |
창원 | 1 | 1 | | | |
개인적으로 입주물량만큼이나 매매/전세 과거 가격 그래프를 보는게 현재 구간이 과거년도 가격대에 비해 비싼지 싼지 골라보는 것이다.
주식도 마찬가지로 특정 테마의 대장주가 이슈를 받아 시세분출이 나왔으면
그 후에 안올랐던 후발주들이 다음차례로 시세분출로 상승이 나올 것이다.
예를 들어 보안관련주식의 대장주가 보안 관련 이슈로 큰 상승이 나왔다.
그 후 관련된 다른 주식들을 보니까 아직 반응이 미비하다.
같은 업종인데 한 회사만 이슈를 받아 시세 분출이 나오는건 그 회사만의 특정한 이슈이면 그러겠지만
대체로 업종 전체의 이슈일 확률이 높기때문에
이미 시세가 높게 올라버린 대장주 계속 올라타는건 리스크가 큰 일이기때문에 위험하게 진입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그들도 투자는 계속 해야되므로 그 외의 관련 업종주식을 찾게 된다.
투자자들은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선 연관된 자료를 갖고 비교하면서 이런 생각들을 많이 하므로 관련있는 주식을 비교하고 시세분출이 나왔던 대장주와 비슷한 흐름으로 가게 된다.
이건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코인이든 사람이 관여하는 재테크에 대해선 비슷한 흐름인 것 같다.
부동산도 똑같이 투자를 계속해온 투자자라면 좋은 투자처가 이미 많이 올랐다고 해서
실망해서 포기하고 더 이상 투자를 안하는사람은 드물 것이다.
오히려 돈을 가만히 놔두는게 더 실망스러운 일이라 생각할 것이다.
투자를 계속 해온사람들이라면 투자로 성공한 사람들의 데이터를 습득하고 그들과 비슷하게 생각을 하고 그 생각이 행동으로 이어져서 그게 정형화된 법칙처럼 투자처 가격도 움직이는 것 같다.
그러기에 부동산에서도 저평가지역을 찾을때 요긴하게 쓰이는 것중에 하나가 과거년도의 가격을 비교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저평가 지역 찾기 5편 지역별 대장 시세 비교 - 지방 (광역시, 특별자치시,도 제외) (0) | 2021.09.05 |
---|---|
아파트 저평가 지역 찾기 4편 인구수/세대수 - 지방 (광역시, 특별자치시,도 제외) (0) | 2021.09.03 |
아파트 저평가 지역 찾기 2편 미분양 - 지방 (광역시, 특별자치시,도 제외) (1) | 2021.09.01 |
아파트 저평가 지역 찾기 1편 입주물량 - 지방 (광역시, 특별자치시,도 제외) (0) | 2021.08.29 |
갭 5천만원이하 수도권 아파트 (일산) (0) | 2021.08.28 |